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canon 5D Mark 4 설명서

캐논은 사진 마니아들로부터 11년 동안 대중적인 사랑을 받아온 EOS를 대표하는 5D 시리즈의 신모델 EOS 5D Mark IV를 새롭게 발표했다. EOS 5D Mark III 후속으로서는 4년 반 만의 신모델. 간만에 나온 후속인 만큼 센서부터 시작해 모든 부분에서 업그레이드가 이뤄졌다. EOS 5D Mark IV는 ALL-ROUND PERFORMER 타이틀과 함께 다양한 영역에서의 촬영을 더욱 강력하게 지원하는 최신 기술과 성과를 적용했다고 한다.

신제품 EOS 5D Mark IV는 EOS 5D 시리즈의 최신작으로 카메라 사용자가 풍부한 표현력을 이끌어낼 수 있는 압도적인 성능 향상이 이뤄진 모델이다. 약 3,040만 화소의 35mm 새로운 풀프레임 이미지 센서를 탑재하고, 진화한 영상처리엔진 디직 6+(DIGIC 6+)로 뛰어난 해상력과 고감도를 자랑한다. 또한 EOS iTR AF가 적용된 정교한 61 포인트 고밀도 레티큘러 AF II 시스템, 초고해상도 DCI 4K 영상 촬영의 지원, 듀얼 픽셀 CMOS AF(Dual Pixel CMOS AF) 시스템과 풀 터치 LCD의 지원 등으로 더욱 발전된 5D 시리즈의 모습을 갖춘 고성능 풀프레임 DSLR 카메라다.

EOS 5D Mark IV의 주요 특징

-약 3,040만 화소 35mm 풀 프레임 CMOS 센서
-상용 감도 ISO 100~ISO 32000의 고감도 (확장 ISO 50, ISO 102400 지원)
-듀얼 픽셀 CMOS AF
-터치 AF 시스템
-61포인트 레티큘러 AF & EOS iTR AF 탑재
-초당 약 7매의 고속 연속 촬영
-DIGIC 6+ 이미지 프로세서
-4K/30P 대응 고해상,고프레임 라이트 EOS MOVIE
-듀얼 픽셀 RAW
-GPS/Wi-Fi/NFC 내장

 

35mm 풀 프레임 약 3,040만 화소 CMOS 센서
상용 ISO 32000(확장 ISO 102400) 고감도 설계

캐논의 최신 기술을 집약하여 새롭게 개발한 약 36.0x24.0mm 크기 약 3,040만 화소 CMOS 센서는 상용 감도 ISO 100부터 ISO 32000의 고감도 성능을 발휘하여 고속 신호를 판독, 듀얼 픽셀 CMOS AF 등을 지원하여 더욱 뛰어난 고화질 이미지를 표현하고 있다.

아울러 CMOS 센서의 S/N비 향상과 이미지 프로세서 DIGIC 6+의 저휘도 노이즈 처리 알고리즘의 발전으로 상용 ISO 32000의 고감도 촬영이 가능하다. 또한 확장으로는 ISO 50 저감도에 초고감도 영역은 ISO 102400 까지 사용이 가능해 보다 다양한 환경에서의 촬영을 지원한다.

DIGIG 6+ 이미지 프로세서

EOS 5D Mark IV는 EOS 카메라의 플래그쉽 모델 EOS-1D X Mark II에도 탑재된 최신 이미지 프로세서 DIGIG 6+를 탑재했다. DIGIG 6+는 저휘도 노이즈를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새로운 노이즈 처리 알고리즘으로 고감도 ISO 촬영을 지원하고 카메라 내에서 디지털 렌즈 최적화를 적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4K/30P의 고해상 동영상을 가능하게 했다.

카메라 내 디지털 렌즈 최적화 기능 탑재

EOS-1D X Mark II에 최초 적용 및 RAW 파일에만 대응이 되었던 ‘디지털 렌즈 최적화(Digital Lens Optimizer)’ 기능을 JPEG 파일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했다. 디지털 렌즈 최적화는 캐논의 이미지 편집 소프트웨어인 ‘DPP(Digital Photo Professional, 이하 DPP)’에서 캐논 렌즈의 잔존 수차와 회절 현상을 보정해 선명한 고품질 이미지를 구현하는 기능이다. EOS 5D Mark IV는 카메라가 다양한 EF 렌즈의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어 촬영 조건마다 상이한 수차에 대해 파악하고 촬영된 이미지의 해상력을 카메라 내에서 RAW 파일 뿐만 아니라 JPEG 파일에도 직접 보정할 수 있다.

| 렌즈 수차 보정

주변의 조도, 색 수차, 왜곡 수차 뿐 아니라 조리개 조임에 의한 회절 현상 또한 JPEG 촬영 시에 보정할 수 있어 주요 광학적 영향을 촬영과 동시에 모두 보정할 수 있게 되었다.

| 픽쳐스타일 ‘상세’ 추가

피사체의 질감까지 섬세하게 묘사하는 픽쳐스타일 ‘상세’를 새롭게 추가 탑재하였으며 샤프니스 항목에서 ‘세세함’ 과 ‘임계값’ 을 조정할 수 있게 되었다.

| ‘화이트 우선’ 자동 화이트 밸런스 추가

자동 화이트 밸런스에 광원의 분위기를 넘겨 표현하는 ‘분위기 우선’ 과 붉은색을 억제하고 흰색을 흰색으로 재현하는 ‘화이트 우선’ 이 새롭게 탑재되었다.

 

최고 약 7프레임/초 의 연사

스포츠, 야생 동물 및 야생 조류 등, 빠르게 움직이는 피사체 촬영에도 효과적으로 약 3,040만 화소 고화소로 대응하는 최고 약 7프레임/초의 고속 연속 촬영을 지원함으로써 피사체의 연속적인 움직임을 정밀하게 포착할 수 있다. AI Servo AF로 피사체 동체 추적 촬영 역시 효과적으로 대응한다.
연속 촬영 가능 매수는 JPEG 라지/파인 에서 약 110매, RAW로는 약 17매(UDMA 모드 7 호환 CF 카드 사용시 21매), RAW+JPEG 라지/파인 으로는 약 13매 (UDMA 모드 7 호환 CF 카드 사용시 약 16매)

 

연사 속도 향상 및 미러 쇼크를 감소한
미러 진동 제어 시스템

EOS의 초고화소 모델 EOS 5Ds/5Ds R 에 사용된 미러 진동 제어 시스템을 기반으로 새롭게 개발. 구동 속도를 제어하는 하이 토크 모터와 미러 바운드를 강력하게 억제하는 레버가 새롭게 채용되어 미러 구동을 고속화 함과 동시에, 진동 또한 단시간에 진정시킨다.

 

연속 촬영 시에도 안정된 노출의 깜박임 방지 촬영

실내나 인공 광원에서 촬영 시 측광 센서가 광원의 깜박임을 검출하여 광량이 최대일 때만 촬영, 노출과 화이트 밸런스에 미치는 영향을 억제한다. 연사 촬영 시 각 컷의 노출은 물론 1매 촬영 시의 이미지에서도 노출을 균일하게 유지한다.

 

정확하고 빠르게 피사체를 포착하는
61포인트 레티큘러 AF

EOS의 플래그쉽 모델 EOS-1D X Mark II와 동일한 AF 센서를 채용하여 61개의 AF 포인트를 고밀도로 배치했다. AF 영역은 이전 모델과 대비하여 좌우 블록이 약 24%, 중앙 블록이 약 8.6%로 세로 방향으로 확대가 되었으며 AF 포인트의 휘도 범위는 EV-3~18을 지니고 있다. 또한, 중앙 5 포인트는 듀얼 크로스 AF가 가능하며, 최대 41포인트로 크로스 AF가 가능하다.

 

익스텐더 촬영의 가능성을 폭 넓히는
모든 포인트 F8 대응 AF

최대 61개의 모든 AF 포인트로 F8 대응(크로스 21 포인트)AF가 가능하여 익스텐더를 사용한 초망원 촬영 시에도 AF 영역 선택 모드의 [자동 선택 AF] [대형 존 AF] [존 AF]를 사용할 수 있으며, EOS iTR AF를 활용한 추적도 가능하다.

 

피사체 특징을 파악하여 정밀하게
자동 추적하는 EOS iTR AF

EOS iSA System에 의해 피사체의 얼굴과 색, 형태 등을 검출하고 피사체의 움직임에 맞춰 AF 포인트를 이동시키며 초점을 추적한다. 때문에 피사체를 놓치지 않는다. 또한 EOS iTR AF에 의한 AF 포인트의 자동 선택 조건을 변경할 수 있어 인물뿐 아니라 인물 이외의 피사체 촬영 시에도 EOS iTR AF를 사용해 효과적으로 추적할 수 있다.

| 7가지 AF 영역 선택 모드

EOS 5D Mark IV는 총 7가지 AF 영역 선택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AF 영역을 3분할하는 [대형 존 AF]를 EOS iTR AF와 함께 사용하면 격렬하게 움직이는 피사체 추적 시 더욱 효과적이다.

후면에 새롭게 마련된 AF 영역 선택 버튼 또한 상황에 따라 보다 빠르게 AF 영역을 컨트롤 할 수 있다.



장면 분석 시스템을 더욱 정밀하게 하는
RGB+IR 측광 센서

약 15만 화소 RGB+IR 측광 센서와 장면 분석 전용의 DIGIG 6를 탑재. DIGIC 6의 이미지 처리 성능과 약 15만 화소로 피사체의 얼굴과 색, 움직임 등을 탐지하여 촬영 장면을 더욱 정확하고 정밀하게 분석하여 AF와 AE, 자동 밝기 최적화, 자동 화이트 밸런스의 기능을 보조한다.

 

빠르고 부드러운 촬상면 위상차 AF의
듀얼 픽셀 CMOS AF

듀얼 픽셀 CMOS AF를 탑재하여 라이브 뷰 정지 사진 및 동영상 촬영 시 대부분의 EF 렌즈에서 빠르고 부드러운 촬상면 위상차 AF가 가능해졌다. 화면 내 가로세로 약 80%의 넓은 범위에서 AF가 가능하며 풀 프레임 센서 탑재 기종 최초로 FlexiZone-Multi AF 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듀얼 픽셀 CMOS AF는 EV-4의 극도로 어두운 조건에서도 정확하게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움직이는 피사체를 추적하는
라이브 뷰 서보 AF 연사

EOS 5D Mark IV는 라이브 뷰 촬영 시에도 서보 AF를 선택하고 드라이브 모드를 고속 연속 촬영(연속 촬영 속도 우선, 초당 약 4.3매)또는 저속 연속 촬영(피사체 추적 우선, 초당 약 3매)을 설정하면 움직이는 피사체에 초점을 계속 맞추면서 연속 촬영을 즐길 수 있다.

 

4K 동영상 촬영 지원


EOS 5D Mark IV는 4K/30P는 물론 Full HD/60P의 고화질 동영상 촬영을 지원한다. 4K 동영상의 기록 크기는 디지털 시네마의 표준 규격인 4096x2160, 화면 비율은 17:9이며 기록 형식은 MOV, 압축 방식에 Motion JPEG를 채용했다. 또한 exFAT의 파일 포맷을 지원하여 영상 기록시 4GB 파일 크기 제한 없이 하나의 파일로 대용량 기록이 가능하다.

| 동영상 프레임 별 비트레이트

[MOV]
4K (29.97p / 25.00p / 24.00p / 23.98p) / Motion JPEG : 약 500Mbps
Full HD (59.94p / 50.00p) / ALL-I : 약 180Mbps
Full HD (59.94p / 50.00p) / IPB : 약 60Mbps
Full HD (29.97p / 25.00p / 24.00p / 23.98p) / ALL-I : 약 90Mbps
Full HD (29.97p / 25.00p / 24.00p / 23.98p) / IPB (표준) : 약 30Mbps
HD ( 119.9p / 100.0p) / ALL-I : 약 160Mbps

[MP4]
Full HD (59.94p / 50.00p) / IPB (표준) : 약 60Mbps
Full HD (29.97p / 25.00p / 24.00p / 23.98p) / IPB (표준) : 약 30Mbps
Full HD (29.97p / 25.00p) / IPB (경량) : 약 12Mbps


| 동영상 서보 AF 지원

듀얼 픽셀 CMOS AF의 탑재로 대부분의 EF 렌즈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을 AF 프레임과 초점이 추적하는 동영상 서보 AF가 가능하다. 또한 FlexZone-Single 에서는 동영상 서보 AF의 특성을 조정할 수 있어 다양한 촬영 조건과 표현 의도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 약 880만 화소의 4K 프레임 추출

카메라 내에서 4K 영상을 재생 시에 1프레임을 약 880만 화소의 이미지 사진으로 추출하여 JPEG로 저장할 수 있다. 모든 프레임을 스틸 이미지로 활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4K 모니터링 환경이 없는 촬영 현장에서도 추출한 이미지를 확대하여 동영상의 초점을 확인할 수 있다.

| HDR 동영상 지원

EOS 최초로 크리에이티브 존에서도 밝기 차이가 큰 장면에서 노출 과다를 억제한 하이 다이나믹 레인지의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단, 동영상 포맷은 Full HD / 30P (IPB)로 제한된다.

| 120P 고속 프레임 HD 동영상, 타임랩스

HD(1280x720)로 촬영시, 119.9P의 고속 프레임 속도로 영상을 기록할 수 있으며, 동영상 촬영 시 타임랩스(Time-lapse) 동영상 모드를 지원해 Full HD 화질로 별도의 리모컨 없이 시간의 흐름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인터벌 타이머 기능을 제공해 일정한 간격으로 이미지를 저장해 보다 고해상도의 타임랩스 영상을 제작하고자 할 때 소스로 활용할 수 있다. 촬영 간격은 1초에서 99시간 59분 59초까지 지정할 수 있으며, 촬영 매수는 1~99매 및 무제한으로 설정 가능하다.

| USB 3.0 디지털 단자, HDMI 출력 지원

아울러 Full HD 영상을 YCbCr 4: 2:2 (8bit) 비압축으로 HDMI 출력이 가능하다. 타임 코드를 첨부할 수 있으며, 음성 출력도 지원한다. (HDMI 출력시 4K 영상은 Full HD로 출력됨) 또한 USB 3.0포트를 갖춰 PC로 빠르게 동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듀얼 픽셀 로우(Dual Pixel RAW) 지원

DPRAW(Dual Pixel RAW)는 이미지 센서에서의 듀얼 픽셀 정보가 첨부된 특별한 RAW 이미지 데이터로서 DDP(Digital Photo Professional)로 현상 시 이미지에 기록된 듀얼 픽셀 정보를 활용하여 이미지 미세 조정/보케 시프트/고스트 현상 감소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이미지 미세 조정 : 이미지에 촬영된 피사체의 깊이 정보에 기반해 해상감을 조정할 수 있다. 슬라이더를 이용하여 해상감 조정 정도와 강도를 조정 가능하다.
-보케 시프트 : 이미지에 촬영된 배경 흐림 또는 전경 흐림의 위치를 좌우로 조정할 수 있으며, 일부 영역만을 선택하여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고스트 현상 감소 : 이미지에 나타난 고스트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인공 광원 또는 역광 시의 촬영에 효과적이다. 일부 영역을 선택하여 조정할 수도 있으며, 플레어 현상에도 효과가 있다.

 

터치 AF/터치 셔터 지원의 클리어 뷰 액정 II

촬영한 결과물을 깨끗하고 자세하게 확인할 수 있는 3.2형 약 162만 도트의 정전식 터치 LCD도 갖추고 있는데, 후면 LCD에 적용된 터치 기능은 동영상 촬영 시 자유로운 AF 포인트의 선택과 이동뿐만 아니라 프레임의 확대 조작 및 메뉴, 재생 등 카메라의 각종 설정을 터치로 이어갈 수 있어 편리한 영상 촬영 환경을 선사한다. 새롭게 4단계의 색상 조정 기능도 탑재했다. 새로운 클리어 뷰 액정 II는 코팅이 없는 보호 커버와 액정 패널의 틈새가 광학 탄성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장 표면에 오염 방지 및 반사 방지 코팅을 실시한 형태다. 따라서 편광 선글라스를 끼고 있어도 모니터 표시가 잘 보인다고 한다.

 

인텔리전트 뷰파인더 II

EOS 5D Mark IV는 보다 쾌적한 촬영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갖췄다. 시야율 약 100%의 '인텔리전트 뷰 파인더 II'를 탑재해 격자 표시, 전자 수평계 표시, 촬영모드, 화면 비율 설정 시 촬영 범위 등 사진 촬영에 필요한 정보를 뷰 파인더 안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손쉽게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베율은 0.71배의 펜타 프지림으로서 약 21mm의 아이 포인트를 지니고 있다. 포커싱 스크린은 고정식.

메뉴 화면의 레이아웃 역시 EOS스타일을 계승하고 있지만, 터치 조작에 대응하며 촬영시에 사용할 수 있는 퀵 설정 화면은 취향에 따라 배치를 바꿀 수 있는 등 사용자의 스타일을 고려했다.

 

Wi-Fi / NFC, GPS 탑재

Wi-Fi와 NFC를 탑재해 카메라 커넥트(Camera Connect)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해 무선으로 컨트롤 및 사진과 동영상 촬영을 이어갈 수 있으며, 캐논의 이미지 저장 장치인 커넥트 스테이션 CS100과 연동해 사진과 영상을 쉽고 간편하게 백업할 수 있다. 또 정확도 높은 내장 GPS를 새롭게 탑재해 언제 어디서나 촬영한 사진의 위치를 기록할 수 있다.

 

듀얼 메모리 슬롯 탑재

저장매체는 CF 슬롯과 SD 슬롯을 동시에 갖춘 듀얼 슬롯을 탑재했으며, CF 슬롯은 UDMA7, SD 슬롯은 UHS-I 규격을 지원해 고화소의 대용량 이미지와 초고해상도 4K 영상을 빠르고 신속하게 기록한다.

 

고강성 마그네슘 합금, 방진 방적 구조 채택

카메라 본체는 강성과 방열성이 우수한 마그네슘 합금으로 제작됐으며, EOS 5D Mark III(약, 860g, 본체만) 대비 약 800g(본체만) 으로 경량화를 이뤄냈다. 여기에 외부 커버의 이음새는 고무로 절연 처리하거나 방진∙방습 재질로 정밀하게 밀폐해 전문가와 하이 아마추어들이 험한 환경에서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보다 높은 내구성을 실현했다. 외형 크기는 150.7 × 116.4 × 75.9mm, 중량은 약 890g (배터리, CF / SD 포함) 약 800g (본체만).

배터리는 LP-E6N / LP-E6를 지원한다. EOS 5D Mark III와 EOS 5Ds / R과 공통으로, EOS 5D Mark II, EOS 6D, EOS 7D Mark II, EOS 80D, EOS 70D 등과 공유가 가능하다. 배터리 성능은 파인더 사용시 촬영 가능 매수는 약 900 장. 라이브 뷰 촬영시 약 300 매다.

또한 별매 전용 배터리 그립 「BG-E20」를 마련했다. 단자부를 카메라의 배터리 실에 삽입하는 타입으로 비디오 삼각대 구멍을 갖추는 등 동영상 촬영에 대한 배려도 이루어졌다.

국내의 경우 EOS 5D Mark IV는 8월 25일(목) 예약 판매가 시작되며, 오는 9월 20일(화) 정식 출시될 예정이다. 출시 전 9월 3일(토)부터 4일(일)까지 이틀 간 삼성동 JBK 컨벤션 센터에서 EOS 5D Mark IV 런칭 쇼케이스가 진행돼, 오후 2시부터 오후 6시까지 누구나 행사장을 방문해 EOS 5D Mark IV의 성능을 체험할 수 있다. 바디의 제품가격은 300만원 이다.

일본의 경우 세금 별도의 직판 가격이 바디 단품 43 만 2,500 엔, 그리고 24-70 F4L 렌즈 킷이 54 만 7,500 엔, 24-70 F2.8L II 렌즈 킷이 61 만 7,500 엔, 10월 말에 추가 출시되는 24-105 F4L II 렌즈 킷이 55 만 7,500 엔이며, 북미의 경우 바디만 $3499. 24-70mm F4L IS 킷이 $4399, 24-105mm F4L IS II USM 킷이 $4599 가격으로 형성됐다.

한편 캐논코리아컨슈머이미징은 8월 25일(목)부터 오는 9월 4일(일)까지 신제품 EOS 5D Mark IV의 예약 판매를 진행한다. 예약 판매를 통해 제품을 구매한 고객은 제품의 정식 출시일 이전인 오는 9월 8일(목)에 신제품을 수령할 수 있으며, 사은품으로 EOS 5D Mark IV 미니어처와 함께 정품 배터리 그립 BG-E20 또는 마이크 DM-E1, 신개념 이미지 저장장치 CS100 중 1개를 선택 가능하다. 또한, EOS 5D Mark IV의 출시를 기념해 ‘풀옵션, 꿈이 아니다’ 캐시백 이벤트도 진행된다. 오는 11월 10일(목)까지 진행되며, EOS 5D Mark Ⅲ, EOS 6D, EOS 7D Mark Ⅱ와 EF 35mm f/1.4L Ⅱ USM, EF 50mm f/1.2L USM 등 캐논의 L렌즈 라인업 총 10종 등 제품을 구매하고 정품등록및 이벤트 응모를 완료한 고객 대상으로 최대 43만원의 캐시백을 지급할 예정이다.

캐논 EOS 5D Mark IV는 4년 만에 나온 EOS의 대표 모델인 만큼 스펙에서도 많은 부분 신경을 쓴 흔적이 보인다. 세계적인 베스트 셀러 시리즈를 이어가는 DSLR이기에 그 임무 또한 막중하겠지만 다양한 분야에서의 화려한 활약과 더불어 수많은 사진/영상가들을 감동시킬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5D Mark IV 사용법 사용법 강좌 #1

 

I. 카메라를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한 사전 설정

 

1. 카메라를 사용하기 전에 설정해야 할 것들

 

- 언어 : 한국어로 설정

- 날짜 : ,,일을 올바르게 설정하고 해외 여행을 가는 경우 해당 국가에 맞게

시간대만 변경하면 됨.

- 자동 전원 오프 : 전원 관리를 위해 30-1분정도로 실정할 것

- 비디오 형식 : 동영상 촬영을 위해 NTSC로 설정

- 재생 시간 : 8초 혹은 홀드로 설정하는 것을 추천

- LCD 밝기 : 자동 / 중간 단계로 설정

 

2. 카메라를 편리하게 조작하기

- 후면의 INFO 버튼을 누르면 LCD에 촬영 정보를 표시하게 할 수 있어 더욱 쉽게

카메라 설정 확인 가능.

- P, Tv, Av 모드에서 노출 보정을 하고자 하는 경우 셔터 버튼을 살짝 눌렀다

뗀 다음 퀵 컨트롤 다이얼로 조절

- M 모드에서는 메인 다이얼로 셔터 스피드 조절, 퀵 컨트롤 다이얼로 조리개 조절

- 카메라 후면의 킥 컨트롤 버튼과 멀티 컨트롤러 혹은 터치를 이용해 기능을 설정할 수도 있음.

 

ll. 촬영을 위한 카메라 설정

 

1. 카메라의 화질 설정과 메모리의 활용

- 새 메모리를 구입한 경우 반드시 카메라에서 포맷한 후 사용하고, 메모리를 PC에서 포맷하는 것은 가급적 피할 것

- JPEG로 촬영하는 경우 가급적 최고 화질로 촬영할 것

- 후보정을 염두에 둔다면 JPEG+ RAW 촬영을 적극 권장함

- 듀얼 메모리를 지원하는5D Mark 4의 경우 분할 저장 혹은 백업 옵션을 활용하면 보다 안정적으로 사진을 저장할 수 있음

 

2. ISO 감도 관련 설정

- ISO Auto를 적극 활용할 것 : 다양한 피사체를 촬영해야 하는 여행 사진에서

필수 적인 기능

- EOS 5D Mark 4 ISO Auto에서 100-32000 까지 설정이 가능함

- 최저 셔터 속도 설정 기능을 이용해 ISO Auto 상태에서의 셔터 스피드를 적절하게 확보할 것

자동 +1 ~ +2 정도가 Hand-Held 촬영에서 가장 적당한 수준

- RAW 포맷으로 촬영하고 포토샵 등을 통해 후 보정 하는 경우에는 노이즈 제거

옵션을 적용하는 것에 각별히 신경을 쓸 것

 

 

Ill. 사진 촬영을 위한 핵심 테크닉

 

I. 장면에 맞는 촬영 모드 선택

- 조리개 우선 모드(Av) : 피사계 심도의 조절이 중요한 사진에서 주로 선택 -인물,풍경,접사 등 대부분의 촬영에서 가장 널리 사용

- 셔터 스피드 우선 모드(Tv) : 순간 포착 촬영이 중요한 사진에서 사용 -스포츠, 생태 촬영

- 매뉴얼 모드(M) : 조명이 일정한 환경, 사용자 임의로 노출을 설정하는 환경, 플래시처럼 별도의 노 출 조절이 가능한 액세서리를 쓰는 환경에서 사용 -야경, 외장 플래시 촬영

 

2. 측광 모드에 대한 이해

- 평가 측광 : 초점을 맞춘 피사체를 기준으로 프레임 전체에 대한 노출을 분할

측광하는 방식으로 대부분의 촬영모드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 - 역광 등에는

다소 취약할 수 있음

- 스팟측광 : 중앙부의 1-3%만 측광하는 방식으로, 노출의 기준이 되는 18% 그레이 카드와 자동 노출 잠금 버튼을 적절히 활용해야 함

- 노출 보정, 자동 노출 브라케팅 관련 기능도 적극 활용할 것

 

3. 스팟 측광 사용하기

- 노출의 기준이 되는 18% 그레이 카드를 뷰파인더 중앙에 위치시키고 카메라 후면의 자동 노출 잠금 버튼을 누를 것 : 4초간 노출이 고정됨

-그레이 가드가 뷰파인더 중앙의 스팟 측광 원을 적절하게 채워야 정확한 측광이 가능함

4초 이내에 피사체에 초점을 맞추고 촬영할 것

- 피사체가 18% 그레이 카드에 비해 빛을 많이 반사할 경우 노출이 어둡게 촬영되며, 적게 반사할 경우 밝게 촬영됨

 

4. 노출 보정 / 브라케팅 기능 사용하기

- 노출 보정 : P, Tv. Av에서 사용 가능하며, 반셔터를 누른 뒤 쿽 컨트롤 다이얼을 돌리거나 퀵 컨트롤 버튼을 누른 뒤 터치 등을 이용해 조작할 수 있음

- 자동 노출 브라케팅 : 노출이 다른 사진을 여러 장 촬영해 그 중 한장을 선택하는 기능

- EOS 5D Mark IV는 최대 7장의 브라케팅 촬영이 가능함

- 브라케팅 + 연속 촬영을 조합하면 더욱 편리한 촬영이 가능함

 

5. 드라이브 모드 설정

- 1매 촬영 : 셔터 버튼을 누를 경우 1장만 촬영됨

- 고속 연속 좔영 : 초당 최대 7매의 연속 촬영이 가능 (디지털 렌즈 최적화 기능

설정시 연속 촬영 속도가 매우 감소됨)

- 저속 연속촬영 : 초당 최대 3매로 연속촬영

- 저소음 촬영 : 셔터음을 다소 줄여 촬영 가능

- 10초 타이머 / 2초 타이머 / 리모트 컨트롤 : 흔들림을 방지하거나 원격 촬영을

할 때 설정

 

6. AF를 위한 기본 설정

- One Shot AF : 정지된 피사체를 촬영할 때 사용

- Al Servo AF : 움직이는 피사체를 촬영할 때 사용

- AI Focus AF : 피사체가 움직일 경우 자동으로 One Shot-Al Servo 전환

- AF 포인트 선택 : 후면의 AF 포인트 선택 버튼을 누르고 멀티 컨트롤러 혹은

다이얼을 통해 선

(터치도 사용 기능)

- 중앙부의 AF 포인트가 가장 정확함

 

7. AI Servo AF 관련 기능 설정하기

- 움직이는 피사체의 속도, 방향 등에 따라 Al Servo AF 관련 기능을 적절히 설정해야

- 1개의 피사체를 지속적으로 추적할 경우 AF 포인트 확장을 사용하고, 다양한 피사체를 촬영하거나 프레임을 고정시키고, 움직이는 피사체를 촬영할 경우 Zone AF를 사용할 것

- Al Servo 첫번째, 두번째 사진 촬영 기능은 정교한 초점이 필요한 경우 초점 우선, 빠른 촬영이 필요한 경우 릴리즈 우선으로 설정할 것.

 

 

IV. 카메라를 빠르게 사용 할 수 있는 나만의 설정활용

 

1. 조작 버튼 사용자 설정

- 카메라의 일부 버튼 기능을 사용자가 직접 지정해 사용하는 기능

- 심도 미리보기 버튼 : One Shot-Al Servo 전환 기능으로 사용 추천

- Set 버튼 : ISO 감도 설정 기능으로 사용 추천

- M.Fn : 외장 플래시를 사용하는 경우 기본값인 FE 잠금 기능으로 실정해야 함

 

2. 커스텀 촬영 모드 설정

- 자주 쓰는 촬영 모드와 조리개, 셔터 스피드 등 촬영 관련 설정을 한꺼번에 저장해

놓을 수 있는 기능

- 모드 다이얼의 C1, C2, C3에 총 3가지 설정을 저장할 수 있음

- 먼저 촬영 모드와 관련 설정값을 정하고 메뉴의 커스텀 촬영 모드에서 등록

- 자동 업데이트 기능을 설정할 경우 변경된 값이 저장 되므로 주의해야 함

 

 

EOS 5D Mark IV 사용법 강좌 #2

 

I. 카메라의 컬러 관련 설정 이해하기

 

I. 화이트 밸런스 관련 기능 활용하기

- EOS 5D Mark 4에서는 두 가지의 AWB 모드 (분위기 우선 / 화이트 우선)를 제공함

- 분위기 우선 : 텅스텐 조명 아래에서 조명의 색상을 그대로 살려 촬영하는 모드

- 화이트 우선 : 텅스텐 조명 아래에서도 백색을 그대로 표현하기 위해 화이트

밸런스를 보정하는 모드

- 인위적인 색감의 사진 촬영을 위해 색온도를 임의로 설정해서 촬영할 수 있음

(색온도를 높일 경우 적색, 낮출 경우 청색이 더해짐)

 

2. 커스텀 화이트 밸런스 설정하기

- 촬영 모드 : P, Tv, Av 모드로 설정할 것

- 화이트 밸런스는 아무 모드' 나 설정해도 됨

- 백색의 종이 혹은 18% 그레이 카드가 뷰 파인더 중앙의 3-40% 가량을 채우도록

하고, 렌즈 포커스 스위치를 MF로 설정한 다음 촬영

- 커스텀 화이트 밸런스 메뉴를 선택하고, 직전에 촬영한 사진을 선택하여 화이트

밸런스 적용

- 화이트 밸런스를 사용자 설정 모드로 변경함

 

3. 픽쳐 스타일 설정하기

- 상황에 맞는 픽쳐 스타일을 설정하고, 필요한 경우 ‘nfo' 버튼을 눌러 상세 설정을 변경할 수 있음

- 샤프니스는 강도, 세세함, 임계값의 세부 설정 가능

- 강도 : 사진 전체에 적용되는 샤프니스의 강도

- 세세함 : 윤곽에 적용되는 샤프니스의 세밀한 정도

- 임계값 : 색상 대비의 차이를 인식하는 정도

- 모노크롬 픽쳐 스타일에서는 채도, 색조 대신 필터 효과, 색조 효과를 변경할 수 있음